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식
- endif
- pack
- fgets()
- 구조체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Kafka
- 2025
- container
- 백준
- ifdef
- struct
- half-close
- 카운팅 정렬
- Wait
- DEBUG
- EOF
- 1929
- 정보처리기사
- fwrite()
- signal
- fread()
- Docker
- handling
- 필기
- strlen()
- fork
- 10989
- scanf()
- sizeof()
- Today
- Total
팥빵 먹으면서 코딩하는 블로그
[Spring Boot] vscode gradle 빌드 오류(버전 호환성 문제) 본문
이걸로 몇 시간을 배렸다... 그래도 해결은 했으니까..
일단 처음에 vscode에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 때, java version을 25를 사용했다.(모든 일의 원흉)
왜 그때는 25가 release된 지 오래됐다고 생각했는지 모르겠는데 gradle 8.13버전이 java 25를 호환하지 않는단 걸 간과하고 일을 저질러 버렸다... ㅋㅋ
그렇게 java 25버전으로 gradle 파일이 만들어지고.. 어ㅠ휴
일의 시작 : 문득 어제 코드를 컴파일하려고 했는데 빌드가 안된다. 오류를 보니 현재 gradle이 java 25를 찾을 수 없다는데 그렇다면 버전을 21로 낮추면 되는 일 아닌가? 그래서 jdk를 21로 변경하고 환경변수도 바꿔줬다. 그리고 다시 빌드를 시도했는데 또 안된다. 이번에도 gradle이 java 25를 찾을 수 없단다. ....? 난 분명 java 버전을 21로 바꿨는데 버전 확인도 다 했고 문제 없는 줄 알았는데 어디서 문제가 생긴거지.. build.gradle에서 자바 버전을 21로 낮추면 해결된다고 해서 수정을 했다. 그치만 여전히 안된다..ㅜㅜ
작년 git repository .env 사건 때가 기억나더라. 초기 셋팅할 때 env파일을 노출시켜 push한 탓에 후에 gitignore에 .env를 추가해도 여전히 깃에서 env파일이 남아있던 사건... 일단 한번 파일을 올리면 로그에 남아있어 못지운다고 했었더라지. 팀원들끼리 그거 해결하려고 몇 시간을 앉아서 서치하고, 검색하고... 윽 진짜 끔찍했어
결국 새로운 repository를 파서 새로이 셋팅하고 push를 진행했었다. 와, 이게 팀끼리 짧은 기간에 하는 프로젝트라 다행이지 만약 기업에서 이런 실수를 했으면 이건 시말서 쓰고도 남았단 생각을 하며 진땀을 뺐었다.
그때 기억이 나서 어차피 시간이 없으니 gradle 관련 파일들을 다 뜯어볼 수는 없는 노릇이고 차라리 소스코드만 가지고서 새로운 java 21버전 프로젝트를 파는 게 낫지 않을까 싶어서 그렇게 했다. ...그러더니 되더라. 내 시간 돌려내.. 결국엔 자바 프로젝트를 25로 설정했고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은 탓에 이 사달이 났던 것이다.
오늘의 교훈 : 프로젝트 만들 때 tool끼리의 버전 호환성은 항상 확인하자.
'project 일지 > spring boot 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vscode로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0) | 2025.03.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