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canf()
- struct
- container
- 10989
- sizeof()
- Docker
- ifdef
- pack
- 백준
- strlen()
- half-close
- 구조체
- EOF
- DEBUG
- fork
- Kafka
- signal
- fgets()
- 카운팅 정렬
- 2025
- endif
- fread()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fwrite()
- 정보처리기사
- 자식
- Wait
- 필기
- handling
- 1929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10989 (1)
팥빵 먹으면서 코딩하는 블로그
04. 카운팅 정렬(counting sort)
응용문제 : 백준 10989 카운팅 정렬(counting sort)란 데이터의 개수를 세어 정렬하는 방법이다. 시간복잡도는 O(N)으로 다른 정렬방법(quick sort, radix sort, etc.)보다 압도적으로 시간이 짧다. 하지만 데이터 값이 큰 경우에는 배열의 메모리 문제가 터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래 백준 문제의 최대 데이터 값은 10,000이다. 이보단 작은 데이터 값을 최대로 가진 문제에 카운팅 정렬을 쓰는 걸 추천한다.) 직관적으로 카운팅 정렬을 보려면 3개의 array가 필요하다. 1. 정렬되지 않은(정렬해야 할) 데이터를 모은 array 2. (index=데이터 값) / 각 데이터 값(=index)의 개수를 입력한 array 3. 덧셈 처리한 2번 array의 각 값에 -1..
study/JAVA
2023. 9. 9.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