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Docker
- fwrite()
- 카프카 서버
- scanf()
- 2025
- signal
- 도커
- fgets()
- EOF
- ifdef
- handling
- half-close
- bootstrap.server
- fread()
- endif
- container
- sizeof()
- 1929
- 구조체
- 백준
- kafka server
- 카운팅 정렬
- Kafka
- 정보처리기사
- SQLD
- 10989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2025 1회
- 합격 후기
- strle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bootstrap.server (1)
팥빵 먹으면서 코딩하는 블로그
[Spring Boot] Kafka와 Docker와 Bootstrap.server의 관계성
프로젝트를 하면서 kafka를 호스트에서 실행시키는 게 아닌 docker compose로 도커에 올려 실행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구현하면서 kafka의 브로커에 접근하려고 보면 호스트->도커, 도커->호스트, 도커->도커 이렇게 방식이 다 달라서 중간에 server를 가리키는 주소를 헷갈릴 때가 많았다. 그래서 머릿속으로는 아는데 가끔씩 헷갈릴 때가 있어서 이참에 정리 한번 해보려고 한다.※ kafka 서버는 호스트에서 돌리는 게 아닌 docker에 돌아감을 가정한다. 호스트 -> 도커(kafka server)접속 주소localhost:9094(ex. docker-compose에서 - 9094:9094로 매핑 시)description호스트에서 Kafka 컨테이너에 접근할 때는 컨테이너의 포트를 호스트에..
project 일지/spring boot 01
2025. 6. 5.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