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alf-close
- 2025 1회
- 합격 후기
- kafka server
- 하둡3 설치
- handling
- 하둡3
- 2025
- 10989
- fread()
- bootstrap.server
- Docker
- sizeof()
- 하둡 설치
- fwrite()
- scanf()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SQLD
- ifdef
- 정보처리기사
- fgets()
- 도커
- endif
- 카프카 서버
- strlen()
- 카운팅 정렬
- Kafka
- 1929
- EOF
- 백준
- Today
- Total
목록study/JAVA SPRING (13)
팥빵 먹으면서 코딩하는 블로그
Validation
Controller- @SpringBootApplication : spring boot application으로 설정- @Controller : view를 제공하는 controller로 설정- @RestController : Rest API 를 제공하는 controller로 설정- @RequestMapping : URL 주소를 매핑 Mapping- @GetMapping : Http GetMethod URL 주소 매핑- @PostMapping : Http PostMethod URL 주소 매핑- @PutMapping : Http PutMethod URL 주..
AOP관점지향 프로그래밍-running time을 알고싶을 때 주로 @Aspect를 사용해 time을 체크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은 대부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MVC웹 어플리케이션에서는 Web Layer, Business Layer, Data Layer로 정의 -web layer: rest api를 제공하며, client 중심의 로직 적용(response를 내려주거나, http 스테이터스를 바꿔주거나 하는 역할)-business layer : 내부 정책에 따른 logic을 개발하며, 주로 해당 부분을 개발(서비스를 개발할 때 주로 함)-data layer: 데이터베이스 및 외부와의 연동을 처리(다른 서버와 연동을 한다거나 외부와의 데이터 연결을 처리할 때 사용) **주요 annotation- @Asp..
- IoC (Inversion of Control)spring에서는 일반적인 java 객체를 new로 생성해 개발자가 관리하는 것이 아닌 spring container에 모두 맡긴다.즉, 개발자에서 프레임 워크로 제어의 객체 관리의 권한이 넘어갔다고 한다.이를 "제어의 역전" 이라고 한다.-> spring container안에 생성하고자 하는 객체들이 이미 만들어져 들어가 있음. singleton의 형태로 관리됨.
- DI(Dependency Injection)직역하면 외부로부터 내가 사용할 객체를 주입을 받는다는 의미.DI 장점01. 의존성으로부터 격리시켜 코드 테스트에 용이하다.(꼭 저 아이가 없더라도 테스트 가능하게 만듦.)02. DI를 통하여, 불가능한 상황을 Mock와 같은 기술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테스트 가능하다.(원래는 배포를 해야지만 테스트가 가능했지만 이를 어떠한 응답이 올거란 기댓값을 넣어두고 로직을 넣으며 테스트 가능하다.)03. 코드를 확장하거나 변경할 때, 영향을 최소화 한다.(추상화)04. 순환참조를 막을 수 있다.(내가 나를 참조한다던지, 내가 다른 객체를 참조했는데 그 객체가 나를 다시 참조한다던지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java 프로젝트 (java spring 프로젝트 X)..
- SpringPOJO(=자바 plain class)- IoC / DI (의존 관계 주입) - AOP (관점 중심 프로그램) - PSA(이식 가능한 추상화) : 내가 만든 인터페이스가 다른 곳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가? 기능 변경에 있어서 핵심 기능을 건드리지 않고 그 추상하ㅗ된 부분만 재사용한다던지에 대해 잘 작성했는가?
package com.example.objectmapper;import com.fasterxml.jackson.core.JsonProcessingException;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bind.ObjectMapper;import org.junit.jupiter.api.Test;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SpringBootTestclass ObjectMapperApplicationTests { @Test void contextLoads() throws JsonProcessingException { System.out.println("-------------"); ..
- controller란? client의 요청을 처리한 후 지정된 view에 model 객체를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controller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데, 하나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세분화, 분배하여 controller를 나누어 logic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 client(모바일, 웹 브라우저 등)가 웹 서버에 데이터나 .html파일과 같은 파일을 요청할 때웹 서버의 컨트롤러는 DB에 GET(SELECT), POST(INSERT), PUT(UPDATE), DELETE로 요청하고,DB로부터 응답을 받아 client에게 응답해준다. - controller의 종류@Controller //file을 응답하는 컨트롤러 - client가 브라우저면 .html 파일을@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