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커
- endif
- 합격 후기
- Docker
- 하둡3
- 카운팅 정렬
- 정보처리기사
- 하둡 설치
- SQLD
- fwrite()
- kafka server
- half-close
- 백준
- 1929
- ifdef
- bootstrap.server
- handling
- 10989
- 카프카 서버
- strlen()
- 하둡3 설치
- Kafka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2025 1회
- EOF
- fgets()
- scanf()
- fread()
- 2025
- sizeof()
- Today
- Total
목록study/JAVA SPRING (13)
팥빵 먹으면서 코딩하는 블로그
- RestController를 사용한 api controllerpackage com.example.response.controller;import com.example.response.dto.User;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RequestMapping("/api")public class ApiController { /* 걍 text -get */ //TEXT @GetMapping("/text") public Stri..
DELETE(의미: 리소스 갱신, 생성)* CRUD: D* 멱등성: O(삭제되었던 데이터든 현재 있는 데이터든 삭제시키는 건 같기 때문에)* 안정성: X(삭제하는 순간 DATA가 삭제되기 때문에)* Path Variable: O* Query Parameter: O(쿼리 파라미터로도 데이터를 받기도 한다.)* Data Body: X(넣을 순 있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resource를 삭제할 때는 database의 id이거나 사용자의 unique한 값을 삭제하기 때문에 databody를 가지지 않는다.) - delete에 관련된 annotation 정리01. @RestController : Rest API 설정02. @RequestMapping : 리소스를 설정(method로 구분 가능) 03. @Del..
PUT(의미: 리소스 갱신, 생성)* CRUD: C / U* 멱등성: O(리소스가 있으면 갱신하고, 없으면 생성하기 때문 -- 처음 한번은 생성되고 그 다음부터는 갱신되기 때문에 DATA는 하나라고 치기 때문에)* 안정성: X(잘못된 DATA가 전송되더라도 계속 UPDATE 하기 때문에)* Path Variable: O* Query Parameter: 잘 쓰이진 않음(설정은 가능)* Data Body: O(DATA BODY에 DATA를 실어 보내기 때문에 굳이 query parameter로 보낼 필요가 없음) - put에 관련된 annotation 정리01. @RestController : Rest API 설정02. @RequestMapping : 리소스를 설정(method로 구분 가능) 03. @Pu..
POST(의미: 리소스 생성, 추가)* CRUD: C* 멱등성: X(매번 생성하기 때문)* 안정성: X(요청할 때마다 DATA가 생성되기 때문)* Path Variable: O* Query Parameter: 잘 쓰이진 않음(설정은 가능)* Data Body: O(DATA BODY에 DATA를 실어 보내기 때문에 굳이 query parameter로 보낼 필요가 없음) - data를 web에서 주고받을 땐 주로 json과 xml로 주고받는다. (최근엔 json) -post에 관련된 annotation 정리01. @RestController : Rest API 설정02. @RequestMapping : 리소스를 설정(method로 구분 가능) 03. @PostMapping : Post Resource 설정0..
GET(의미: 리소스 취득)* CRUD: R* 멱등성: O* 안정성: O* Path Variable: O* Query Parameter: O* Data Body: X ***시작 전에 8080이 아닌 다른 port로 연결하고 싶다면, resources의 application.properties라는 모듈에 server.port = 9090(임의) 라고 작성한다. - controller(=GET에 대한 요청을 받는 것) 패키지 속 classpackage com.example.hello.controller;import com.example.hello.dto.UserRequest;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import java.util.Map;@Rest..